반응형
영상 편집을 하다 보면 슬로우 모션이나 빠르게 재생되는 장면을 넣고 싶을 때가 많습니다. 이럴 땐 속도 조절 기능을 활용하면 효과적으로 원하는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. 프리미어 프로에서는 이 기능이 꽤 직관적으로 되어 있어서 어렵지 않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1️⃣ 기본 속도 조절 방법
속도 조절은 아주 간단한 조작으로도 가능합니다. 클립을 타임라인에 올려놓은 후, 아래 순서대로 진행해보세요.
- 클립을 우클릭 → Speed/Duration 클릭
- 퍼센트 단위로 속도를 설정할 수 있음
- 100%는 원래 속도
- 50%는 2배 느리게 (슬로우 모션)
- 200%는 2배 빠르게 (패스트 포워드)
✔️ Tip: ‘Ripple Edit, Shifting Trailing Clips’에 체크하면 속도를 바꿨을 때 뒤에 있는 클립이 자동으로 밀려나거나 당겨져서 편집 흐름이 깨지지 않습니다.
2️⃣ 타임 리매핑(Time Remapping) 활용하기
조금 더 정밀하게 속도를 조절하고 싶다면 ‘타임 리매핑’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 이 기능은 클립 내 특정 구간만 속도를 조절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.
- 클립을 선택하고, 클립 왼쪽에 있는 Fx 아이콘을 클릭 → Time Remapping > Speed 선택
- 타임라인에서 클립에 속도 조절선이 생깁니다
- 원하는 지점을 Ctrl 클릭하여 키프레임 추가
- 키프레임을 기준으로 속도 선을 올리거나 내리면 해당 구간의 속도 조절 가능
- 두 키프레임 사이에 간격을 주면 자연스럽게 속도가 전환됩니다 (페이드 효과처럼)
💡 이 방법은 슬로우와 패스트를 자연스럽게 이어붙이고 싶을 때 정말 좋습니다.
3️⃣ 고급 속도 조절 팁
영상의 속도를 조절할 때 단순히 속도만 바꾸는 게 아니라 품질도 함께 신경 써야 합니다. 슬로우 모션을 넣을 경우 프레임 수가 부족해서 영상이 끊겨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.
- Optical Flow 옵션 활용
- 클립 우클릭 → Speed/Duration → Time Interpolation > Optical Flow 선택
- 프리미어가 중간 프레임을 생성해서 부드러운 재생 가능
- 단, 영상에 따라 잘 맞지 않을 수도 있으니 미리보기로 확인 필요
- 프레임 보간 기능
- 일반적인 프레임 보간보다 부드러운 움직임 제공
- 다만, 복잡한 장면에서는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
💡 추가 팁: 속도 조절 단축키 및 워크플로우
슬로우/패스트 기능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기 때문에 단축키를 지정해두면 편집 속도가 훨씬 빨라집니다.
- ‘Speed/Duration’은 기본 단축키가 없으므로,
- 메뉴 > Edit > Keyboard Shortcuts > speed 검색
- 원하는 키(예: Shift + R)를 지정하면 빠르게 접근 가능
- 저는 자주 쓰는 기능이라 Shift + S로 지정해서 쓰고 있습니다. 본인 스타일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하면 정말 편해집니다!
반응형
'프리미어·에프터이펙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영상 자막 쉽게 넣는 법 (0) | 2025.04.24 |
---|---|
🎬 컷 편집과 트랜지션 활용법 (0) | 2025.04.14 |